자주 쓰면서도 헷갈리는 표현
굳이 VS 구지
오늘 확실히
알아보고
기억해 봐요
안녕하세요 라이언홍입니다.
우리말 맞춤법엔 헷갈리는 단어가 참 많죠?
그중에서도 굳이 구지는 많은 분들이 헷갈려하는 맞춤법인데요
최근 맞춤법을 자주 틀리면 이성에 대한 호감이 떨어진다는 조사마저 있었죠?
요즈음은 맞춤법빌런이라는 신조어까지 생겼답니다 ㅎㅎ
그래서 오늘은 헷갈리는 부분 싹 정리해 드리고, 앞으로 기억하기 쉽게 그림으로 알려드리도록 할게요~
그럼 굳이 구지 이 둘 중 맞는 표현은 뭘까요?
정답은.....바로
굳이입니다. ㅎㅎ
이 말은 사전을 찾아보면,
1. 단단한 마음으로 굳게, 2. 고집을 부려 구태여
이렇게 나오는데요~ 1번의 경우보다는 저는 주로 2번의 경우에 주로 쓴답니다.
가령 이런 경우 종종 쓰이죠?
"굳이 오시지 않으셔도 됩니다."
"굳이 읽지 않으셔도 됩니다."
여러분은 1번에 쓰시나요? 아니면 2번의 경우 쓰시나요?
그렇다면, 왜 구지가 아니라 굳이가 정답일까요?
굳이가 원래 맞는 표현인데 굳이를 소리 나는 그대로 읽은 게 구지입니다.
이렇게 바뀌는 걸 구개음화라고 합니다.
굳+이 => 소리 나는 대로 읽으면 구디 => 구개음화로 인해서 구지
이렇게 되는 거죠
구개음화 좀 어렵죠? 학교 다닐 때 들어는 본 것 같은 ㅎㅎ
하지만, 이번 기회에 한번 알아 놓으시면, 다른 이런 경우에 모두 맞게 사용하실 수 있기 때문에
잠깐만 집중해 주세요~
구개음화란 ㄷ이나 ㅌ이 이(ㅣ)모음 앞에 올 경우 ㅈ과 ㅊ으로 바뀌는 현상을 말하죠?
대표적으로 같이(가치로 읽고), 해돋이(해도지로 읽죠?) 같은 표현이 여기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위에서도 굳이의 ㄷ이 이(ㅣ) 앞에 오는 바람에 ㅈ으로 바뀌어서 구지로 되는 겁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기억하면 될까요?
위에서 말씀드린 사전에 굳게 라는 뜻이 있었죠? 굳게까지 모두 굳다에서 나온 말이기에 굳이라고 쓰는구나
이렇게 아래 그림처럼 기억하시면 될 것 같아요
또한, 해돋이, 같이 이것도 기억하시면 앞으로 헷갈리지 않으실 거예요~
오늘은 종종 헷갈리는 표현, 구지 굳이 설명드렸습니다 ^^
신경 쓰지 않으면 정말 그냥 넘어갈 수 있는 맞춤법이지만
소중한 우리말 지켜가도록 해요 ^^
'살아가는이야기 > 궁금하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톡 차단 확인 방법 정확히 알아봐요 (0) | 2020.07.25 |
---|---|
카톡 차단당하면 프사 안보이나요? (0) | 2020.07.24 |
넷플릭스 시청기록 삭제 초스피드로 하는 법 (0) | 2020.07.22 |
넷플릭스 성인인증 한 번으로 안돼요 (0) | 2020.07.21 |
밀폐된 곳에서 선풍기 틀고 자면? 한국인의 도시전설 팩트 체크 (0) | 2020.05.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