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살아가는이야기/궁금하다

굳이 구지 이제 확실히 알아보자

by Alice.S.Ahn 2020. 7. 23.

자주 쓰면서도 헷갈리는 표현

굳이 VS 구지

오늘  확실히 
알아보고 

기억해 봐요 

 



안녕하세요 라이언홍입니다.
우리말 맞춤법엔 헷갈리는 단어가 참 많죠?
그중에서도 굳이 구지는 많은 분들이 헷갈려하는 맞춤법인데요

 



최근 맞춤법을 자주 틀리면 이성에 대한 호감이 떨어진다는 조사마저 있었죠?
요즈음은 맞춤법빌런이라는 신조어까지 생겼답니다 ㅎㅎ
그래서 오늘은 헷갈리는 부분 싹 정리해 드리고, 앞으로 기억하기 쉽게 그림으로 알려드리도록 할게요~

​ 그럼 굳이 구지 이 둘 중 맞는 표현은 뭘까요?
정답은.....바로

 

 

 

 

 

 

 


굳이입니다. ㅎㅎ

 



이 말은 사전을 찾아보면, 
1. 단단한 마음으로 굳게, 2. 고집을 부려 구태여
이렇게 나오는데요~ 1번의 경우보다는 저는 주로 2번의 경우에 주로 쓴답니다.

가령 이런 경우 종종 쓰이죠?

"굳이 오시지 않으셔도 됩니다."
"굳이 읽지 않으셔도 됩니다."

​여러분은 1번에 쓰시나요? 아니면 2번의 경우 쓰시나요? 

 


그렇다면, 왜 구지가 아니라 굳이가 정답일까요?
굳이가 원래 맞는 표현인데 굳이를 소리 나는 그대로 읽은 게 구지입니다.
이렇게 바뀌는 걸 구개음화라고 합니다.

굳+이 => 소리 나는 대로 읽으면 구디 => 구개음화로 인해서 구지

이렇게 되는 거죠

 

구개음화 좀 어렵죠? 학교 다닐 때 들어는 본 것 같은 ㅎㅎ


하지만, 이번 기회에 한번 알아 놓으시면, 다른 이런 경우에 모두 맞게 사용하실 수 있기 때문에
잠깐만 집중해 주세요~

구개음화란​  ㄷ이나 ㅌ이  이(ㅣ)모음 앞에 올 경우 ㅈ과 ㅊ으로 바뀌는 현상을 말하죠?
대표적으로 같이(가치로 읽고), 해돋이(해도지로 읽죠?) 같은 표현이 여기에 해당됩니다

​ 따라서, 위에서도 굳이의 ㄷ이 이(ㅣ) 앞에 오는 바람에 ㅈ으로 바뀌어서 구지로 되는 겁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기억하면 될까요?

​위에서 말씀드린 사전에 굳게 라는 뜻이 있었죠?  굳게까지 모두 굳다에서 나온 말이기에 굳이라고 쓰는구나
이렇게 아래 그림처럼 기억하시면 될 것 같아요

 


또한, 해돋이, 같이 이것도 기억하시면 앞으로 헷갈리지 않으실  거예요~
오늘은 종종 헷갈리는 표현, 구지 굳이 설명드렸습니다 ^^

신경 쓰지 않으면 정말 그냥 넘어갈 수 있는 맞춤법이지만 

소중한 우리말 지켜가도록 해요 ^^

댓글